영감과 통찰로 생성된 7 소스

img10

img11

img12

img13

img14

img15

소개

  • 시스템 개요: 경기도 농업기술원은 매 시간별 자동기상관측자료와 이를 기반으로 가공한 기상도를 이용해 병해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
  • 예측 기능: '농작물 병해충 예보' 앱을 통해 병해충 발생 가능성을 4가지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며, 적절한 방제 시점도 알려줍니다.

  • 협업 기관: 경기도농업기술원은 기상청, 에피넷(주), 서울대 등과 협력하여 예보 시스템의 정밀성을 향상하였습니다.

  • 응용 기술: 지리정보시스템(GIS)을 활용한 정보 제공으로 지역별 농업기상과 병충해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여 실시간 제공하고 있습니다.

  • 서비스 접근성: 사용자는 앱스토어 등을 통해 '농작물병해충예보' 앱을 설치하여 손쉽게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시스템 특징 [1]

  • 기상 관측: 자동기상관측장비를 통해 시간별 기상 데이터를 수집합니다.

  • 병해충 예측: 수집된 기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병해충 발생 가능성을 분석합니다.

  • 지리정보시스템: 지역별로 세분화된 기상 및 병해충 정보를 제공합니다.

  • 실시간 서비스: 온도, 강수량 등의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정밀도 향상: GIS를 응용하여 지역별 예측의 정확성을 높였습니다.

img10

이용 방법 [2]

  • 앱 설치: '농작물병해충예보' 앱을 'Play 스토어' 또는 '앱스토어'에서 검색하여 설치합니다.

  • 사용 편의성: 회원가입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.

  • 정보 제공: 병해충 발생에 대한 예보 및 방제 정보 제공.

  • 주의 및 경보: 병해충 경보나 주의보 발행 시 농약 살포 시점 안내.

  • 지역별 정보: 과거 데이터 기반으로 지역별 방제작업 가능.

img10

협력 기관 [2]

  • 기상청: 농업기상 예보 및 관측 자료 제공

  • 에피넷(주): 기상 분석과 예보 시스템 개발 협력

  • 서울대학교: 병해충 예보 연구 파트너

  • 국가농립기상센터: 기상 관측 데이터 공동 연구

  • 경기도농업기술원: 전체 시스템 주관 관리 및 운영

대상 작물 [2]

  • 벼: 주로 도열병, 잎집무늬마름병 예방

  • 사과: 탄저병, 붉은별무늬병 예방

  • 배: 검은별무늬병 예방

  • 고추: 순나방, 심식나방 방제

  • 포도: 도열병 및 주변 병해충 관리

  • 복숭아: 복숭아와 관련된 병해충 정보 제공

img10

서비스 확장 [1]

  • 30명의 농업연구관 참여: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협조

  •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: 지역별, 작물별 개인화된 추천 방제 전략 제공

  • 데이터 수집 기술 확대: 다양한 기상 데이터 수집 가능

  • 응용 분야 확장: 농업 외에도 환경적 응용 가능성

  • 휴대성 강조: 스마트폰 중심의 사용자 친화적 시스템 제공

img10

img11

관련 동영상

<br><br>